우혜진, 박지윤, 탁현아, 이규연, 이지혜, 성용준 (2017).
자존감 불일치와 SNS 에서의 과시적 자기표현 간의 관계.
한국심리학회지: 소비자·광고, 18(3), 365-389.
초록
자존감 불일치란 자아에 대해 두 가지 개별적 태도(명시적 자존감, 암묵적 자존감)가 동시에 존재하며, 각 각의 태도가 일치 혹은 불일치할 수 있음을 뜻하는 개념이다. 특히 자존감이 불일치하는 경우, 명시적 자 존감이 높으나 암묵적 자존감이 낮은 유형과 반대로 명시적 자존감은 낮지만 암묵적 자존감이 높은 유형 으로구분될수있다. 본연구는자존감불일치수준및두하위유형에따라SNS에서네가지과시대상 (물질, 경험, 친분, 펫)을 통해 과시적 자기표현 행동(사진 업로드, 해시태그 사용)을 보이는 정도의 차이를 탐색하기 위해 설문조사와 내용분석을 동시에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자존감 불일치 수준이 높을수록 SNS 에 물질이 나온 사진을 더 업로드하고 사진에서 브랜드 로고를 더 선명히 드러내며, 물질이 언급된 해시 태그를 더 사용했다. 더불어 자존감 불일치 두 하위 유형에 따라 SNS에서 과시적 자기표현을 위한 대상 및 방식의 차이 또한 나타났다. 과시 대상의 경우, 물질 및 경험을 통한 과시적 자기표현 행동에서는 두 유형 간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으나 명시적 자존감이 높으나 암묵적 자존감은 낮은 유형은 친분을, 반대의 유형은 펫을 통해 과시적으로 자기표현을 하는 경향이 나타났다. 나아가 명시적 자존감은 높으나 암묵적 자존감이 낮은 유형은 해시태그를 통해 과시 대상과 자신의 관계를 직접적으로 드러낸 반면, 반대 유형은 사진에서 브랜드 로고를 가시적으로 드러냄으로써 비교적 간접적으로 과시적 자기표현을 했다. 이상의 연 구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는 SNS에서의 자존감 불일치와 과시적 자기표현 행동 간의 관계를 검증함으로 써 이론적 및 실무적인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우혜진, 박지윤, 탁현아, 이규연, 이지혜, 성용준 (2017).
자존감 불일치와 SNS 에서의 과시적 자기표현 간의 관계.
한국심리학회지: 소비자·광고, 18(3), 365-389.
초록
자존감 불일치란 자아에 대해 두 가지 개별적 태도(명시적 자존감, 암묵적 자존감)가 동시에 존재하며, 각 각의 태도가 일치 혹은 불일치할 수 있음을 뜻하는 개념이다. 특히 자존감이 불일치하는 경우, 명시적 자 존감이 높으나 암묵적 자존감이 낮은 유형과 반대로 명시적 자존감은 낮지만 암묵적 자존감이 높은 유형 으로구분될수있다. 본연구는자존감불일치수준및두하위유형에따라SNS에서네가지과시대상 (물질, 경험, 친분, 펫)을 통해 과시적 자기표현 행동(사진 업로드, 해시태그 사용)을 보이는 정도의 차이를 탐색하기 위해 설문조사와 내용분석을 동시에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자존감 불일치 수준이 높을수록 SNS 에 물질이 나온 사진을 더 업로드하고 사진에서 브랜드 로고를 더 선명히 드러내며, 물질이 언급된 해시 태그를 더 사용했다. 더불어 자존감 불일치 두 하위 유형에 따라 SNS에서 과시적 자기표현을 위한 대상 및 방식의 차이 또한 나타났다. 과시 대상의 경우, 물질 및 경험을 통한 과시적 자기표현 행동에서는 두 유형 간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으나 명시적 자존감이 높으나 암묵적 자존감은 낮은 유형은 친분을, 반대의 유형은 펫을 통해 과시적으로 자기표현을 하는 경향이 나타났다. 나아가 명시적 자존감은 높으나 암묵적 자존감이 낮은 유형은 해시태그를 통해 과시 대상과 자신의 관계를 직접적으로 드러낸 반면, 반대 유형은 사진에서 브랜드 로고를 가시적으로 드러냄으로써 비교적 간접적으로 과시적 자기표현을 했다. 이상의 연 구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는 SNS에서의 자존감 불일치와 과시적 자기표현 행동 간의 관계를 검증함으로 써 이론적 및 실무적인 시사점을 제시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