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 한국광고학회 가을철 정기학술대회가 2024년 10월 25일 홍천 세이지우드에서 개최되었습니다.
이번 정기 학술대회는 '도파민 과잉의 시대: 광고의 역할'이라는 주제로 진행되었습니다.
대주제 세션은 이번 학회의 주제에 맞는 세 가지 연구가 발표되었고, 세 연구 모두 cplab 연구원들이 참여하였습니다.
먼저, 김태연 교수님께서 <숏폼 컨텐츠 소비에 영향을 미치는 심리적 요인> 에 대해 발표해주셨고,
정영주 연구원이 함께 연구에 참여하였습니다.
![](https://cdn.imweb.me/upload/S2022020970b21b55d6e5d/407a3e6d3653e.jpg)
![](https://cdn.imweb.me/upload/S2022020970b21b55d6e5d/ed57fb1fa1ea1.jpg)
김정원 교수님께서 발표한 <청소년의 흡연 행동 및 관련 인식에 대한 연구: 연초와 액상형 전자담배의 비교를 중심으로> 연구에는
이예주 연구원이 함께 참여하였고,
![](https://cdn.imweb.me/upload/S2022020970b21b55d6e5d/e626d2828174d.jpg)
문장호 교수님께서 발표한 <도파민 과잉의 시대, 숏폼 플랫폼의 알고리즘 투명성과 사용자 통제 기능이 사용자 경험에 미치는 영향>에는
정영주 연구원과 방재연 연구원이 참여하였습니다.
소비자 심리 세션에서는
김태연 교수님께서 <모바일 앱 내 리워드 프로그램 이용자에 대한 인식 연구>라는 발표에 토론을 맡아주셨습니다.
이소진 연구원은 <디지털 시대의 사회적 배제, 퍼빙(Phubbing)이 심리적 웰빙과 미디어 이용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발표했습니다.
![](https://cdn.imweb.me/upload/S2022020970b21b55d6e5d/d9c99618438e0.jpg)
인공지능 세션에서는
안정용 교수님께서 <공정한 세상에 대한 믿음이 소비자의 설득효과에 미치는 영향: 인간 vs. AI 에이전트의 추천 서비스 비교>에 대해 발표해주셨고,
김은서 연구원이 연구에 참여했습니다.
![](https://cdn.imweb.me/upload/S2022020970b21b55d6e5d/dd8922d36f2cb.jpg)
이예주 연구원은 <강요된 기부? AI생성 광고에서 단언적 메시지가 소비자반응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발표했습니다.
![](https://cdn.imweb.me/upload/S2022020970b21b55d6e5d/77642241317ea.jpg)
오승재 연구원은 <“May AI help you?” 인공지능 주도성, 조절초점, 과제유형 간 삼원상호작용효과가 인공지능 평가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발표했습니다.
![](https://cdn.imweb.me/upload/S2022020970b21b55d6e5d/934884c3c355e.png)
또한, 모든 cplab 연구원들도 원활한 학회의 진행을 위해
학회 장소로 이동하는 버스 인솔부터 학회장 정리와 발표 진행 등 각자의 위치에서 힘써주었습니다.
![](https://cdn.imweb.me/upload/S2022020970b21b55d6e5d/d11543a304d5f.jpg)
특히, 광고학회 조직위원장을 맡고 계신 성용준 교수님께서는 개최부터 마무리까지 성공적인 학회를 위해 밤낮으로 노력해주셨습니다.
![](https://cdn.imweb.me/upload/S2022020970b21b55d6e5d/f92e868d323bf.jpg)
![](https://cdn.imweb.me/upload/S2022020970b21b55d6e5d/a509e9363b156.jpg)
덕분에 훌륭한 발표들에 걸맞는 최고의 학회장과
안락한 휴식 공간에서 광고학회 회원들 모두 보람찬 시간을 보내고 왔습니다.
![](https://cdn.imweb.me/upload/S2022020970b21b55d6e5d/4e40db42ef839.jpg)
![](https://cdn.imweb.me/upload/S2022020970b21b55d6e5d/ccc79e420ddd3.jpg)
![](https://cdn.imweb.me/upload/S2022020970b21b55d6e5d/c4073b3276ed9.jpg)
![](https://cdn.imweb.me/upload/S2022020970b21b55d6e5d/7919fd403e94e.jpg)
![](https://cdn.imweb.me/upload/S2022020970b21b55d6e5d/f4ca485da8519.jpg)
![](https://cdn.imweb.me/upload/S2022020970b21b55d6e5d/8cf4200771c66.jpg)
2024 한국광고학회 가을철 정기학술대회가 2024년 10월 25일 홍천 세이지우드에서 개최되었습니다.
이번 정기 학술대회는 '도파민 과잉의 시대: 광고의 역할'이라는 주제로 진행되었습니다.
대주제 세션은 이번 학회의 주제에 맞는 세 가지 연구가 발표되었고, 세 연구 모두 cplab 연구원들이 참여하였습니다.
먼저, 김태연 교수님께서 <숏폼 컨텐츠 소비에 영향을 미치는 심리적 요인> 에 대해 발표해주셨고,
![](https://cdn.imweb.me/upload/S2022020970b21b55d6e5d/407a3e6d3653e.jpg)
정영주 연구원이 함께 연구에 참여하였습니다.
김정원 교수님께서 발표한 <청소년의 흡연 행동 및 관련 인식에 대한 연구: 연초와 액상형 전자담배의 비교를 중심으로> 연구에는
이예주 연구원이 함께 참여하였고,
문장호 교수님께서 발표한 <도파민 과잉의 시대, 숏폼 플랫폼의 알고리즘 투명성과 사용자 통제 기능이 사용자 경험에 미치는 영향>에는
정영주 연구원과 방재연 연구원이 참여하였습니다.
소비자 심리 세션에서는
김태연 교수님께서 <모바일 앱 내 리워드 프로그램 이용자에 대한 인식 연구>라는 발표에 토론을 맡아주셨습니다.
이소진 연구원은 <디지털 시대의 사회적 배제, 퍼빙(Phubbing)이 심리적 웰빙과 미디어 이용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발표했습니다.
![](https://cdn.imweb.me/upload/S2022020970b21b55d6e5d/d9c99618438e0.jpg)
인공지능 세션에서는
안정용 교수님께서 <공정한 세상에 대한 믿음이 소비자의 설득효과에 미치는 영향: 인간 vs. AI 에이전트의 추천 서비스 비교>에 대해 발표해주셨고,
김은서 연구원이 연구에 참여했습니다.
이예주 연구원은 <강요된 기부? AI생성 광고에서 단언적 메시지가 소비자반응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발표했습니다.
오승재 연구원은 <“May AI help you?” 인공지능 주도성, 조절초점, 과제유형 간 삼원상호작용효과가 인공지능 평가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발표했습니다.
또한, 모든 cplab 연구원들도 원활한 학회의 진행을 위해
학회 장소로 이동하는 버스 인솔부터 학회장 정리와 발표 진행 등 각자의 위치에서 힘써주었습니다.
특히, 광고학회 조직위원장을 맡고 계신 성용준 교수님께서는 개최부터 마무리까지 성공적인 학회를 위해 밤낮으로 노력해주셨습니다.
![](https://cdn.imweb.me/upload/S2022020970b21b55d6e5d/f92e868d323bf.jpg)
덕분에 훌륭한 발표들에 걸맞는 최고의 학회장과
안락한 휴식 공간에서 광고학회 회원들 모두 보람찬 시간을 보내고 왔습니다.